검증 대상
Q. 코로나에 걸렸더니 암세포가 사라졌다?
-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입니다. 기사를 인용하며 희귀 혈액암 환자가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이후 회복하니 혈액암 세포가 거의 사라졌다는 내용입니다.
* 팩트체크 제안 링크 : https://factchecker.or.kr/fc_suggests/122
* 인터넷 커뮤니티 링크 : https://www.dogdrip.net/318918419
* 인터넷 커뮤니티 글의 인용 기사 링크 : http://www.upinews.kr/newsView/upi202104150025
* 팩트체크 사항:
1. 영국혈액학저널이 희귀 혈액암인 호지킨 림프종 환자가 코로나19에 감염돼 입원 치료를 받은 직후 종양이 거의 없어진 사례를 보고했다.
2. 의사들에 따르면 코로나19가 이 남성 A에게 항암 면역 반응을 촉발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관련 링크
검증 방법
관련 제안
검증 내용
영국혈액학저널이 희귀 혈액암인 호지킨 림프종 환자가 코로나19에 감염돼 입원 치료를 받은 직후 종양이 거의 없어진 사례를 보고했다. -> 사실
2021년 2월 발표된 <SARS-CoV-2-induced remission of Hodgkin lymphoma> 논문이 관련한 내용입니다.
해당 논문은 <British Society for Haematology and John Wiley & Sons Ltd British Journal of Haematology>에 게시된 것으로 영국혈액학협회 및 혈액학저널에 게시된 바도 맞습니다.
▲ 해당 논문 사진
©2020 British Society for Haematology and John Wiley & Sons Ltd
British Journal of Haematology, 2021, 192, 415
- 해당 논문에는 기사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지킨 림프종 환자 A(61)가 코로나19에 감염돼 입원 치료를 받은 직후 종양이 감소했다고 나타납니다.
- 코로나19 감염이 항종양 면역 반응을 유발했다는 가설을 제기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내용 원문)
> Shortly after diagnosis he was admittedwith breathlessness and wheeze and was diagnosed withPCR-positive SARS-CoV-2 pneumonia. After 11 days of bestsupportive ward-based care he was discharged to convalesceat home. No corticosteroid or immunochemotherapy wasadministered.Four months later, palpable lymphadenopathy hadreduced and an interim PET/CT scan revealed widespreadresolution of the lymphadenopathy and reduced metabolicuptake throughout (right image and supplementary image).The EBV viral PCR had also fallen to 413 copies/ml (log10262).
> We hypothesise that the SARS-CoV-2 infection triggeredan anti-tumour immune response, as has been described withother infections in the context of high-grade non-Hodgkinlymphoma.1The putative mechanisms of action includecross-reactivity of pathogen-specific T cells with tumour anti-gens and natural killer cell activation by inflammatorycytokines produced in response to infection.
- 다만 이는 이례적인 사례로서의 보고로 <코로나에 걸렸더니 암세포가 사라졌다?>고 확장하기는 어렵습니다.
>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엄기성 교수
"(감염이 혈액암을 치료했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지만 한두 명의 사례를 가지고 일반화하기에는 근거가 너무 부족하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림프종 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세포에 관한 자세한 연구 결과가 뒷받침돼야 한다"
인터뷰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4/16/2021041601100.html